간략소개
최무선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화약을 만들고 화약 무기를 개발한 고려 말의 장군이자
과학자이다. 그는 당시 첨단기술이었던 화약제조법을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자체 개발을 해냈으며,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무기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데에도 앞장섰다. 당시 최무선이 개발하고 제작한 화약과 무기는 왜구 격퇴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정치적,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생애와 경력
- 1325년 : 광흥창사 최동순의 아들로 경북 영천에서 출생 (본관: 영천)
- 1376년 : 염초 제조법을 알아냄
- 1377년 :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 제조 및 각종 화약무기 연구 개발 착수함
- 1380년 : 진포대첩에 부원수로서 참전, 화약 무기를 사용하여 왜선 500여 척을 격파함
- 1389년 : <화약수련법>, <화포법>을 저술함
- 1395년 : 4월 19일(음력)에 세상을 떠남
주요업적
- 우리나라 최초로 화약 개발고려 말기에 화약제조법은 오로지 중국만이 가진 첨단 군사기술이자 국가기밀이었다.
최무선은 중국인 기술자 이원에게서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 제조 핵심기술을 알아내고, 숱한 실험을 거쳐 염초를 흙에서
추출하는 데 성공해 마침내 화약 제조 기술을 완성했다.
- 화통도감을 세워 첨단 화약무기들을 연구 개발화약 개발에 성공한 후, 최무선은 화약과 화약무기 제조를 정부에
적극 건의하여 1377년 정부 공식기관인 화통도감을 발족시켰다. 이후 최무선의 주도로 화통도감에서는 대장군, 이장군,
화전, 주화 등 20여 가지의 각종 첨단 화약무기를 개발해냈다.
- 진포대첩에서 왜구와 싸워 승리고려 군대는 화통방사군이라는 화약무기 발사 전문부대를 편성하여 막강한 위력을
지니게 됐다. 1380년 왜구가 500여 척의 선박을 이끌고 금강 하구의 진포로 쳐들어오자, 최무선은 부원수로 참전하여
화약무기로 무장한 전함을 이끌고 나가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 화약 제조법과 화포 제작기술을 책으로 편찬최무선은 자체 개발한 화약 제조법과 화포 제작기술을
<화약수련법>과 <화포법>으로 편찬했다. 이 책들은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그가 개발한 화약
제조법과 화포 제작기술은 아들 최해산에게 전수됐다. 최해산은 아버지의 기술을 계승 발전시켜 조선 초기에 각종 화약 과
신무기를 개발했다.
[출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TEL:031-710-4657
FAX:031-726-7909